통계설명자료
전체조사보기
서비스업동향조사
시점  english
조사목적 정부의 경제정책과 기업의 경영계획 수립 등에 필요한 서비스업생산지수와 소매판매액 통계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조사주기
자료수집방법 (주) 면접조사 / (부) 우편(팩스)조사, 기타, 인터넷조사, 전화조사
조사체계 조사대상처(사업체, 기업, 기관)→지방 통계청 및 사무소→통계청
통계종류 지정통계
통계개요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통계청 서비스업동향과 서비스업동향과 (☎ 042-481-3865)
조사목적 및 활용
조사목적 정부의 경제정책과 기업의 경영계획 수립 등에 필요한 서비스업생산지수와 소매판매액 통계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통계(활용)분야 · 실태 도소매·서비스
작성유형
작성유형 조사통계
조사대상
조사대상 범위 ㅇ 한국표준산업분류(제10차 개정, 2017.7.1.)상의 대분류 중 서비스업에 해당하는 13개 산업
- 수도, 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업(E)
- 도매 및 소매업(G)
- 운수업 및 창고업(H)
- 숙박 및 음식점업(I)
- 정보통신업(J)
- 금융 및 보험업(K)
- 부동산업(L)
-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M)
-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및 임대 서비스업(N)
- 교육서비스업(P)
-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Q)
-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R)
-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S)
조사대상 지역 전국
조사단위 및 조사대상 규모 사업체
ㅇ 조사단위: 사업체
ㅇ 조사대상 규모: 17,600개
적용분류 (주) 산업/세분류이하
조사항목
조사항목 ㅇ 업종별로 조사표(13종) 및 조사항목 차이 있음

[서비스업생산지수]
ㅇ 월간 영업일수, 월말 종사자수, 월간 영업실적 등

[소매판매통계]
ㅇ 조사항목 : 월간 영업일수, 월말 종사자수, 매장면적 , 월간 상품판매액
ㅇ 특성항목 : 상품군별 판매액, 월말 상품재고액(단위 : 백만원)
※ 도소매업재고액지수는 도소매조사표에서 함께 조사함
공표
공표주기
공표시기 조사기준 월 익월, 조사기준분기 익익월(시도별지수)
공표범위 전국
공표방법 및 URL 전산망(인터넷), 간행물, 언론(보도자료)
서비스업생산지수, 소매판매액통계
조사기간
조사대상기간 및 조사기준시점 매월 1일~말일
조사기간 익월 1일~20일
조사주기
계속여부 계속통계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ㅇ 전월비, 전분기비와 같은 단기 분석에는 계절조정지수를 이용하여야 함
ㅇ 매월 발표되는 지수는 잠정치로서 2개월 후에 확정됨(분기자료는 다음 분기에 확정)
ㅇ 매년 초에는 사업체 결산자료, 조사착오 및 누락분 등을 반영하기 위하여 전년도 월별지수를 일부 보정하기 때문에 기공표된 지수 및 증감률이 다소 변경 될 수 있음
ㅇ 유사자료(GDP, 서비스업조사, 온라인쇼핑동향조사 등)와는 자료산출 방식이 차이가 있어 추이가 다를 수 있음(*기타참고자료 관련통계 비교 자료 참고)
주요 용어해설
경상지수 월별로 조사한 대표업종별 매출액을 대표업종별 기준액(기준년도의 월평균 매출액)으로 나누어 작성한 지수(가격변동분 포함)
-> 산업의 구조변화 등을 파악하는데 이용
불변지수 경상지수를 디플레이터로 나누어 작성한 지수(가격변동분 제거)
-> 전년동월비, 전년동분기비 등 업종의 실질 성장을 분석하는데 이용(디플레이터: 생산자물가지수 및 소비자물가지수)
계절조정지수 불변지수를 계절인자로 나누어 작성한 지수(계절요인, 달력요인 제거)
-> 전월비, 전분기비 등의 단기동향 분석에 이용
서비스업생산지수 서비스업 전체 및 개별 업종의 생산활동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개별 업종의 상대적 중요도인 부가가치 기준 가중치를 적용하여 지수화한 것으로 국가의 경제정책 및 기업의 경영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연구소의 서비스업동향 분석 및 연구자료, GDP 추계자료에 활용
서비스업생산지수_ 특수분류지수 서비스업생산지수의 대표업종을 '산업특수분류' 기준으로 재분류하여 작성한 지수
서비스업생산지수_기업규모별지수 서비스업생산지수를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상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구분하여 작성한 지수
서비스업생산지수_시도별지수 시도별 경기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표본을 추가하고 시도 업종별 부가가치 기준 가중치를 적용하여 작성한 지수
소매판매액통계 유통 및 소비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는 지표로서 상품군별, 소매업태별, 17개 시.도별 등으로 구분.작성
소매판매액통계_소매업 구입한 신상품 또는 중고품을 변형 없이 일반 소비자에게 재판매하는 산업활동
소매판매액통계_상품군별 소매상품을 승용차, 가전제품, 의복 등 15개 상품군으로 분류
소매판매액통계_재별 소매상품을 사용기간과 가격의 고저에 따라 내구재, 준내구재, 비내구재 등으로 분류
소매판매액통계_내구재 1년 이상 사용이 가능하고 주로 고가인 승용차, 가전제품, 컴퓨터 및 통신기기, 가구 등의 상품
소매판매액통계_준내구재 1년 이상 사용이 가능하나 주로 저가인 의복, 신발 및 가방, 운동 및 오락용품 등의 상품
소매판매액통계_비내구재 주로 1년 미만 사용되는 음식료품, 의약품, 화장품, 서적 및 문구, 차량연료 등의 상품
소매판매액통계_백화점 단일 경영체제하에 매장면적이 3,000㎡이상이고, 주된 취급품목없이 다수의 매장으로 구획된 판매시설을 갖추고 의류, 가구, 귀금속, 식료품 등 각종 상품을 종합적으로 소매하는 점포
소매판매액통계_대형마트 대형매장(백화점 제외)을 갖추고 식료품, 의류 등의 각종 유형의 상품을 판매하는 종합소매점[매장면적 3,000㎡ 이상, 47112(대형마트), 47119(기타 대형 종합 소매업)]
소매판매액통계_면세점 각종 상품을 종합적으로 취급하고 여행자에게 부과되는 세금(소비세, 주세, 수입품 관세 등)을 면제하여 판매하는 산업활동[47130(면세점)]
소매판매액통계_슈퍼마켓 및 잡화점 단일경영체제하에서 음식료품, 각종 생활잡화 등을 판매하는 소매점[매장면적 3,000㎡ 미만, 47121(슈퍼마켓), 47129(기타 음식료품 위주 종합소매업), 47190(그외 기타 종합소매업)]
소매판매액통계_편의점 체인계약을 체결하고 각종 상품을 계속적으로 공급받아 판매(소매)하는 소매점[47122(체인화편의점)]
소매판매액통계_승용차 및 연료소매점 신품 승용차 판매(45110), 차량 및 가정연료 소매점(477)
소매판매액통계_전문소매점 일정한 매장을 갖추고 특정상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소매점[472(음식료품 및 담배소매업)~478(기타 상품 소매업)] * 477(연료소매업)은 제외,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으로 분류
소매판매액통계_무점포소매 매장없이 상품을 판매하는 소매점   (1) 인터넷쇼핑 :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가상소매점[47911(전자상거래 소매 중개업), 47912(전자상거래 소매업)]    (2) 홈쇼핑 : TV 홈쇼핑채널을 통해 상품을 판매[47919(홈쇼핑판매)]  (3) 방문 및 배달판매 : 직접 판매할 수 있는 매장을 개설하지 않고 상품을 판매하는 방문판매, 계약배달판매 등[47992(계약배달판매업), 47993(방문판매업)]
자료수집방법
자료수집방법 (주) 면접조사 / (부) 우편(팩스)조사, 기타, 인터넷조사, 전화조사
조사연혁
조사연혁 ㅇ 최초 작성년도 : 1999
ㅇ 주요연혁
- 1965.01.  서울의 「소매업조사」(한국은행)
- 1970.11.  서울의 도매업 추가 조사(조사통계국)
- 1982.07.  전국지역 확대 조사(조사통계국)
- 1998.01.  시·도별 대행소매점 판매액 및 소매업태별 지수 추가
- 2000.05.  소비재별 지수 추가
- 2000.08.  ‘서비스업생산지수’ 최초 공표
- 2004.03.  2000년 기준 지수개편
               (서비스업생산, 소매판매)
- 2008.03.  2005년 기준 지수개편
             「도소매업동태조사」가 「서비스업동태조사」로 통합
- 2008.11.  조사명칭변경
              「서비스업동태조사」->「서비스업동향조사」
- 2011.01.  제9차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 적용 지수공표
- 2013.02.  2010년 기준 지수개편
               (서비스업생산, 소매판매 및 도소매업재고)
- 2014.12.  2010년 기준 시도 서비스업생산지수 추가
- 2018.02.  2015년 기준 지수개편
               (서비스업생산, 소매판매 및 도소매업재고)
- 2018..03.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 적용 지수공표
- 2023. 02. 2020년 기준 지수개편
조사체계
조사체계 조사대상처(사업체, 기업, 기관)→지방 통계청 및 사무소→통계청
승인내역
승인번호 101050
승인일자 1999-01-06
통계종류 지정통계
조사관리
전수/표본관리
전수/표본관리 ㅇ 표본보완
   - 매년 실시한는 연간조사(전국사업체조사, 도소매업조사, 서비스업조사,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조사, 운수업조사 등) 결과를 활용하여 연간보정시 보완
ㅇ 표본관리
   - 전수층, 표본층에 따라 사업체변동 처리방법(조사중지, 대체 등)이 다름
   - 지방청별로 매월 15일까지 대체사업체 승인 요청(조사시스템 이용)
   - 본청(서비스업동향과, 표본과)에서 변동사업체 확인 및 승인
조사업무흐름도
조사업무흐름도 조사업무흐름도.png
비표본오차관리
무응답률 및 무응답 대처 ㅇ 무응답 대처
- 무응답 사업체가 발생한 경우 표본 대체하고 있으며, 해당월에 대체를 못한 경우, 임퓨테이션 기법(평균대체, 업종의 동월비 등)을 이용하여, 잠정입력값 산출하여, 해당 사업체 매출액 대체  
표본설계
모집단
목표모집단 및 조사모집단 ◦ 목표모집단: 사업체 정의에 부합되는 대한민국 내 서비스업의 산업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모든 사업체
◦ 조사모집단: 2020년 기준 경제총조사 결과『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 조사범위에 해당하는 13개 대분류 사업체
  - 194개 대표업종
표본추출틀 ㅇ 2020년 기준 경제총조사 모집단 중 13개(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 대분류에서 선정된 194개 대표업종의 매출액 비중을 고려한 사업체 명부
표본설계방법
추출단위 ㅇ 사업체
표본추출방법 ㅇ 응용절사법으로 단일화
표본규모 산출식 ㅇ 표본설계
표본설계1.png
표본추출산식.png
표본배분방법 ㅇ 표본선정 및 표본배분
표본선정.png
추출결과1.png
추출결과2.png
통계추정·추계 및 분석
추정산식
추정산식 ㅇ 승수적용 : 대표업종별로 승수 적용
ㅇ 추정기법 : 서비스업은 업종이 다양하고, 하위 업종별로 매출액 개념이 다르기 때문에 업종 총매출액은 추정하지 않음
  - 단, 대분류 중 매출액 개념이 동일한 도소매업은 총매출액 추정 가능
이상치 식별 및 처리 ㅇ 업종 특성 등을 고려하여. 무응답 및 이상치 식별 및 처리(업종 동월비 등 적용)
지수편제
지수분류체계
지수분류체계 [서비스업생산지수]
ㅇ 산업별 서비스업생산지수
  - 총지수, 대분류지수(13개), 중분류지수(37개), 소분류지수(92개) 등
ㅇ 시도별 서비스업생산지수
  - 17개 시도별 총지수, 대분류지수(13개)
ㅇ 특수분류 서비스업생산지수
  - 환경서비스업, 물류서비스업, 사회서비스업, 지식재산서비스업, 이러닝서비스업, 정보통신기술서비스업, 관광서비스업, 스포츠서비스업, 저작권서비스업, 공간정보서비스업, 디자인서비스업, 콘텐츠서비스업(12개)
ㅇ 기업규모별 서비스업생산지수
  - 대기업, 중소기업

[소매판매통계]
ㅇ 소매업태별, 재별 및 상품군별, 17개 시도별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 및 판매액
ㅇ 도소매업재고액지수
기준년도
기준년도 ㅇ 2020년 기준
지수작성방법
지수산식 ㅇ 연쇄 라스파이레스 산식
대표품목(업종) ㅇ 선정기준
  - 월별 자료수집의 가능성, 서비스동향 파악의 지속성, 산업분류상의 비교 등을 감안
  - 업종의 대표성을 고려하여 연간매출액이 서비스업 전체의 0.1%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는 업종
ㅇ 작성업종
  - 총지수(1개), 대분류(13개), 중분류(37개), 소분류(92개) 등
가중치 ㅇ 2020년 서비스업 업종별 부가가치를 1000.0분비로 하여 가중치 산정
  - 가중치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는 2020년 경제총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작성
기준물량(금액) ㅇ 대표업종의 2020년 월평균 매출액
기초자료
지수작성을 위한 기초자료 ㅇ 이용자용통계정보보고서 참고
지수작성계열 ㅇ 이용자용통계정보보고서 참고
지수형태 및 활용
원지수(경상/불변) ㅇ 경상지수
  - 월별 매출액을 기준년도(2020년)의 월평균 매출액으로 나누어 산출
  - 상위 업종은 업종별 가중치로 가중평균하여 산출
ㅇ 불변지수
  - 경상지수를 디플레이터(물가지수)로 나누어 작성
    (가격변동분을 제거하여 실질 성장을 분석하는데 이용)
계절조정지수 ㅇ 계절조정지수
  - 불변지수에서 계절변동요인(계절요인, 명절요인, 영업일수요인)을 제거(순수 경기변동 측면 파악)
   - 상위업종(총지수, 대분류지수, 중분류지수)은 하위분류 계절조정지수를 가중평균하여 작성
지수개편
과거지수와의 접속방법 ㅇ 업종별로 접속계수를 산정하여 과거지수를 연결
  - 접속계수= 100.0/2015년 기준의 2020년 평균지수
  
참고자료
비밀보호
마이크로데이터(관리실태 포함) ㅇ 마이크로데이터 제공 안함
집계표 데이터 ㅇ 마이크로데이터 제공 안함
국제기구제출 여부 및 국제기구명
국제기구제출 여부 및 국제기구명 미제출
OECD
기타 참고자료
기타 참고자료 ㅇ 외국사례(외국통계 비교자료)
외국사례.png

ㅇ 유사통계 비교
  - 유의사항 : 유사통계와 표본설계, 조사항목 정의 및 범위 등의 차이가 있어 추이가 다를 수 있음
유사통계 비교.png
※ 통계자료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은 위 출처 정보에 안내된 전화번호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원하는 자료를 못찾으셨다면 통계청 민원실 및 통계자료문의코너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통계청 콜센터 02-2012-9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