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설명자료
전체조사보기
산지쌀값조사
시점  english
조사목적 ○「양곡관리법」의 “공공비축미곡 매입가격” 산정을 위한 기초 자료 조사 및 양곡수급관리 정책을 위한 동향자료 제공 (농림축산식품부)
    
○양곡관리법 제10조(공공비축미곡의 비축 및 운용), 동법 시행령 제13조의 2(시장가격의 기준)
○양곡관리법 제16조(가격안정을 위한 양곡의 수급관리)

○ 쌀 재배농가, 도정업자, 유통업체 등 경제주체에게 시장거래에 필요한 가격정보 제공(통계청)
조사주기 순기(10일)
자료수집방법 (주) 면접조사
조사체계 지방통계청(사무소) → 통계청(농어업동향과)
통계종류 일반통계
통계개요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통계청  사회통계국 (☎ 042-481-2576)
조사목적 및 활용
조사목적 ○「양곡관리법」의 “공공비축미곡 매입가격” 산정을 위한 기초 자료 조사 및 양곡수급관리 정책을 위한 동향자료 제공 (농림축산식품부)
    
○양곡관리법 제10조(공공비축미곡의 비축 및 운용), 동법 시행령 제13조의 2(시장가격의 기준)
○양곡관리법 제16조(가격안정을 위한 양곡의 수급관리)

○ 쌀 재배농가, 도정업자, 유통업체 등 경제주체에게 시장거래에 필요한 가격정보 제공(통계청)
통계(활용)분야 · 실태 물가/농림
작성유형
작성유형 조사통계
조사대상
조사대상 범위 (조사지역)전국 120여개 시ㆍ군
(조사대상)농협RPC, 농협DSC, 민간RPC, 민간DSC, 도정공장
조사대상 지역 전국
조사단위 및 조사대상 규모 사업체
RPC(농협, 민간), DSC(농협, 민간), 도정공장 등 370개 내외 대상처
- 전수 : RPC(농협, 민간),
           연간 정곡 유통량이 5,000톤 이상인 DSC(농협, 민간)와 도정공장

- 표본 : 연간 정곡 유통량 500톤 이상인 DSC(농협, 민간)와 도정공장
적용분류 (주) 해당없음 / (부) 해당없음
조사항목
조사항목 (정곡) 조사대상처 대표브랜드(20kg단위)의 최근년도산 출하가격
* 대표브랜드 : 브랜드가 없는 경우 20kg단위 거래 가격

(조곡) 조사대상처가농가로부터매입하는 조곡(40kg단위) 가격

* 정곡 : 조곡의 왕겨를 벗겨낸 백미의 상태(현미제외)
* 조곡 : 수확한 그대로의 알곡
공표
공표주기 순기(10일)
공표시기 조사기준 일 익익일 (매월 7일,17일,27일)
공표범위 전국
공표방법 및 URL 전산망(인터넷)
해당없음
http://kosis.kr
조사기간
조사대상기간 및 조사기준시점 매월(5.15.25일)
조사기간 조사기준일 익일(6일, 16일, 26일)
조사주기 순기(10일)
계속여부 계속통계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산지쌀값조사는 산지 양곡가공업체(RPC, DSC, 도정공장)에서 판매하는 가격(운임 제외)을 조사한 것으로 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수산물도매시장 등의 조사가격과는 차이가 있음에 따라 자료활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요 용어해설
산지쌀값조사 ㅇ RPC(Rice Processing Complex, 미곡종합처리장)
    논에서 수확한 높은 함수율의 물벼를 산물상태로 건조, 저장, 도정하여
   제품으로 출하하는 공정을 일관작업이 가능한 기계화 또는 자동화된
   농업시설
ㅇ DSC(Drying Storage Center, 벼 건조저장시설)
    RPC의 건조 저장 능력을 더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 건조
   저장 전용 시설
ㅇ 정곡 : 조곡의 왕겨를 벗겨낸 백미의 상태(현미제외)
ㅇ 조곡 : 수확한 그대로의 알곡
ㅇ 완전미 : 완전립비율이 96%이상인 쌀
ㅇ 친환경인증미 : 친환경농업육성법 제17조에 따른 친환경 농산물 인증품
ㅇ 품질인증미 : 농산물품질관리법에 의한 품질인증품, 특이농법 재배 또는
   특수물질 첨가한 쌀
자료수집방법
자료수집방법 (주) 면접조사
법적근거
법적근거 양곡관리법 제10조(공공비축미곡의 비축 및 운용)
조사연혁
조사연혁 최초작성년도 : 1976
ㅇ 주요연혁
  - ‘76~     조사시작(농협)
  - ‘96. 9월  138개 시ㆍ군 대상 조사(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농협)
  - ‘02. 2월  조사기관 일원화(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 ‘08. 3월  통계청 이관(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농어업생산통계과)
  - ‘13. 6월  통계작성 승인(승인번호 10179호)
  - ‘16. 7월  산지쌀값조사 표본선정 및 추출방법 개선
  - ‘17. 4월  산지쌀값조사 통계작성 변경승인
   ㆍ 전수층 정곡유통량 기준변경 4,400톤 -->5,000톤
   ㆍ 조사품목 확대(GAP인증미 추가)
  - ‘19. 4월  산지쌀값조사 과거자료 (`85.1.~`13.6.) 온라인 간행물 형태로 제공
  - '23. 1월부터 단순평균 → 비추정평균 가격 산출방식 변경
조사체계
조사체계 지방통계청(사무소) → 통계청(농어업동향과)
승인내역
승인번호 101079
승인일자 2013-06-12
통계종류 일반통계
조사관리
전수/표본관리
전수/표본관리 표본사업체 유고발생시 본청과 협의하여 사업체 변경
조사업무흐름도
조사업무흐름도 ○ 첨부 참조

조사업무흐름도.hwpx
비표본오차관리
조사원교육훈련 2022년 교육훈련
- 2022. 12월 교육 실시
- 교육대상 : 60명 내외
- 산지쌀값조사 지방청 및 사무소(분소) 총괄담당자
표본설계
모집단
목표모집단 및 조사모집단 정곡 유통량이 있는 전국의 양곡가공업체
표본추출틀 전국의 RPC(미곡종합처리장)와 연간 정곡 유통량이 500톤 이상되는 DSC(벼 건조저장시설) 및 도정공장
표본설계방법
추출단위 사업체
표본추출방법 - 전수 : RPC(농협, 민간)
          연간 정곡 유통량이 5,000톤 이상인 DSC(농협, 민간)와 도정공장

- 표본 : 연간 유통량 500톤 이상은 확률표본(계통추출)
표본규모 산출식 전국 370개 내외 사업체
표본규모.hwpx
표본배분방법 네이만배분
통계추정·추계 및 분석
추정산식
추정산식 비추정평균가격 : 조사 대상업체의 유통량을 가중값으로 하여 전국평균값을 도출
추정식.hwpx
참고자료
국제기구제출 여부 및 국제기구명 제출
FAO
※ 통계자료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은 위 출처 정보에 안내된 전화번호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원하는 자료를 못찾으셨다면 통계청 민원실 및 통계자료문의코너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통계청 콜센터 02-2012-9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