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설명자료
전체조사보기
어류양식동향조사
시점
---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2009
2008
조사목적
어류양식 경영체(어가 및 사업체)의 양식품종, 시설현황, 입식량, 생산량, 사육현황, 먹이(사료)투입량 등을 조사하여 양식어업 관련 정책수립 및 평가와 어가경영의 합리적 의사결정, 양식연구, 수산관측사업 등의 기초자료 제공
조사주기
분기
자료수집방법
(주) 면접조사
조사체계
어가 및 사업체 → 조사원 → 지방통계청 → 통계청
통계종류
일반통계
통계개요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통계청 통계청 농어업동향과 (☎ 042-481-2515)
조사목적 및 활용
조사목적
어류양식 경영체(어가 및 사업체)의 양식품종, 시설현황, 입식량, 생산량, 사육현황, 먹이(사료)투입량 등을 조사하여 양식어업 관련 정책수립 및 평가와 어가경영의 합리적 의사결정, 양식연구, 수산관측사업 등의 기초자료 제공
통계(활용)분야 · 실태
수산
작성유형
작성유형
조사통계
조사대상
조사대상 범위
해상 및 육상의 양식시설에서 바닷물을 이용하여 어류 양식업을 경영하는 전국의 모든 경영체(어가 및 사업체)
양식방법: 해상가두리(외해 포함), 육상수조식, 축제식
조사대상 지역
전국
조사단위 및 조사대상 규모
가구
전국의 모든 어류양식업 어가 및 사업체
적용분류
(주) 기타
조사항목
조사항목
1. 일반현황
- 행정구역분류부호, 조사대상처번호, 양식장명, 대표자명, 관리자명, 조직형태(개인, 법인), 소재지, 연락처
2. 종사자 수(반기)
- 경영주, 가족종사자, 상용종사자
3. 조사방법 및 응답자 현황(1월-12월, 월별)
- 조사방법, 응답자
4. 양식어류 총괄 현황
- 어종명(양식어류 부호 및 명칭 참고)
5. 어류양식 현황 및 생산동향
- (월별) 입식량(크기, 마리), 어업생산동향(판매방법,판매상태, 크기, 생산량, 생산금액), 먹이(사료)를 준량, 재투자(중간육성어, 방류)
- (분기) 사육(양식)현황(마리), 월별 조사항목 포함
- (반기) 양식방법, 시설면적(가로, 세로, 시설수), 월별/분기 조사항목 포함
조사표
어류양식동향 조사표 8종(1221).pdf
공표
공표주기
분기
공표시기
분기(조사기준년도 분기말 익익월), 반기(조사기준년도 반기말 익익월), 연간(조사기준년도 익년 3월)
공표범위
시군구
공표방법 및 URL
전산망(인터넷), 언론(보도자료)
어류양식동향조사
http://kostat.go.kr
조사기간
조사대상기간 및 조사기준시점
매월(1일~말일), 분기말 및 반기말
조사기간
매월(매익월1~15일), 분기(매분기 익월 1~15일), 반기(매반기 익월1~20일)
조사주기
분기
계속여부
계속통계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조사대상 제외: 내수면 양식업, 종묘(치어)만을 생산하는 양식장, 단순 오락용 낚시터, 학교 및 연구소의 실험목적 양식, 어류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있는 축양장 등
주요 용어해설
양식방법
o 어류를 가두어 기르기 위하여 설치한 양식시설의 종류를 말하는 것으로 해상가두리, 육상수조식, 축제식으로 분류
- 해상가두리 양식: 해상에 섬유그물망, 피복철망, 플라스틱망 등의 시설물을 설치하여 어류를 길러서 거두어 들이는 행위
* 외해가두리 양식: 육지에 둘러 싸이지 않은 개방된 바다로서 바닷물 소통이 원활한 수면으로 수심 35m이상인 외해에 설치된 가두리
- 육상수조식 양식: 육상에 인위적으로 시설물(수조)을 설치하고 바닷물을 이용하여 어류를 길러서 거두어 들이는 행위
- 축제식 양식: 연안지역의 해안선 또는 육지부에 제방을 쌓아서 바닷물을 이용하여 어류를 길러서 거두어 들이는 행위
종사자
o 경영주 : 양식장을 소유하며 자신의 책임 하에 직접 경영하는 자
o 가족종사자: 양식장 경영주의 가족 또는 친인척으로 봉급이나 임금을 받지 않고 정규 작업시간의 1/3이상을 종사하는자
* 가족이라하더라도 임금이 지급될 경우에는 상용종사자로 조사
o 상용종사자: 양식어장에 고용되어 매월 일정한 급여를 받는자
사육수면적
양식장의 어류를 양식(사육)하는 공간으로 물이 채워진 평면 면적을 말하며, 조사기준일(6월 말일, 12월 말일) 시점 기준으로 어류를 양식(사육) 중인 면적을 조사
종자입식
양식을 목적으로 어린 물고기 또는 중간육성어를 양식(사육)시설에 풀어 놓은 것을 말함
양식(사육)량(마리)
조사시점 기준일-분기(3월 말일, 6월 말일, 9월 말일, 12월 말일) 현재 양식장에서 양식(사육) 중인 물량(마리)
생산량
양식 중인 어류를 생산(출하)한 양을 말하며, 판매하는 것과 자가소비, 선물 등으로 소비한 양도 포함(단, 종묘 및 방류 등과 같은 재투자 물량은 출하량으로 조사하지 않음)
먹이(사료)를 준 량
양식장에서 사육 중인 어류를 성장시키기 위하여 먹이를 주는 양을 가리키며, 면역력을 증강시키고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보조제로 투여하는 약품은 제외
o 생사료: 수산동식물을 활어, 선어, 냉동 등의 상태에서 어류의 먹이로 사용한 것
o 배합사료(EP, Extruded Pellet): 여러가지의 원료를 혼합하여 펠릿(pellet) 형태로 성형하여 수분 함량을 10%미만으로 건조하여 만든 사료
자료수집방법
자료수집방법
(주) 면접조사
조사연혁
조사연혁
o 2003년 해양수산부『어류양식생산실태파악』시험 조사 실시
o 2004년 국가승인통계로 지정(승인번호 제12323호/일반통계)
o 2005년『 어류양식생산시설조사』를『어류양식현황조사』로 명칭 변경
o 2008년 3월 정부조직개편에 따라 해양수산부 -> 통계청으로 업무 이관
o 2008년 10월 『어류양식현황조사』를 『어류양식동향조사』로 명칭 변경
o 2009년 조사주기 변경(매월 -> 분기)
o 2011년 조사주기(분기 -> 반기) 및 공표 주기 변경(매년 -> 반기), 조사표 통합(어업생산동향조사, 양식어류조사표, 어류양식동향조사표)
o 2016년 작성사항 변경
o 2018년 작성사항 변경
o 2022년 조사 및 공표주기(반기 -> 분기), 공표내용 세분화
조사체계
조사체계
어가 및 사업체 → 조사원 → 지방통계청 → 통계청
승인내역
승인번호
123023
승인일자
2004-04-19
통계종류
일반통계
조사관리
전수/표본관리
전수/표본관리
o 전수조사이므로 해당사항 없음
조사업무흐름도
조사업무흐름도
o 조사대상처 명부 조사(매년)
=> 매년 2회이상 관할 시군구의 협조를 받아 조사대상처 명부의 변동사항을 조사하여 명부를 현행화
o 조사대상처 변동 보고(수시) => 조사대상처의 변동사항(신규 또는 휴업, 폐업) 발생 시 지방청 보고 및 대상처 변동처리
o 현장조사 실시
- 누적항목(양식어종별 입식량, 생산량, 생산금액, 먹이를 준 량 등)
(매 익월 1~15일까지)
- 시점항목: (분기)사육현황, (반기)시설면적(수면적), 종사자 수
·분기: 각 분기별 말일 기준 익월 1일 - 15일까지 조사
·반기: 각 반기별 말일 기준 악월 1일 - 20일까지 조사
=> 조사대상처 현지 방문 또는 CATI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조사 실시
o 조사표 정리 및 검토(현장조사 기간내)
=> 조사자료 내용검토 및 정리(부정확한 자료 수정 및 보완), 직원 상호
교차 또는 총괄담당자 검토
o 조사표 입력 및 자료 전송(현장조사 기간내)
=> 조사표 입력 및 내검 실시, 입력한 조사자료가 이상이 없을 경우 본부
로 전송
비표본오차관리
현장조사지도
o 상반기, 하반기 조사기간 중에 실시
o 목적
- 어류양식 및 어업생산 동향조사의 운용실태, 현장조사 사전준비, 지침서 숙지 등을 파악하여 현장조사의 정확성 제고
o 중점 수행사항
- 조사대상처 관리 파악 등
- 조사대상처 변동사항 정보를 지자체로부터 입수 및 관리 여부 확인
- 휴․폐업 조사대상처의 정기적인 관리와 운영 여부 확인
- 자체교육 실시 여부, 지침서 숙지 확인
- 반기 조사항목(종사자, 수면적, 현사육량 등) 실사지도
- 조사표 입력 및 내용검토 방법 지도
- 반기 내검 프로그램 등 기능 숙지 여부
- 조사항목별 자체 내검 및 수정․보완 방법 등
- 조사대상 어가 조사 협조 실태 파악
- 어종별 세분화, 판매상태 등
- 행정자료(계통)에 대한 내검 및 위판 담당자 확인
- 수협 위판(계통) 자료의 어종별 실중량(kg), 판매상태 등
- 입력시스템 문제점 및 개선사항 파악
- 현장조사 문제점 및 개선사항 파악, 건의 사항 수렴 등
무응답률 및 무응답 대처
o 불응 없음
참고자료
작성지침서
작성지침서(기획서)
2022년 어류양식동향조사 지침서.pdf
국제기구제출 여부 및 국제기구명
미제출
※ 통계자료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은 위 출처 정보에 안내된 전화번호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원하는 자료를 못찾으셨다면 통계청 민원실 및 통계자료문의코너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통계청 콜센터 02-2012-9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