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설명자료
전체조사보기
농가판매및구입가격조사
시점
---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2009
2008
조사목적
농가가 생산하는 농산물의 농가수취가격과 농가의 영농 및 소비생활에 필요한 재화와 용역의 구입가격을 조사하여 지수를 편제하고, 농가경제를 가격측면에서 분석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조사주기
분기
자료수집방법
(주) 기타 / (부) 우편(팩스)조사, 인터넷조사, 면접조사, 전화조사
조사체계
ㅇ지역조사 : 조사담당자(사무소) → 조사대상처 방문 → 가격조사 → 조사결과 입력 → 결과 취합 및 지수작성(본청)
ㅇ중앙조사 : 조사담당자(본청) → 가격조사(전화, 인터넷, 행정자료 등) → 조사결과 입력 → 결과 취합 및 지수작성(본청)
통계종류
지정통계
통계개요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통계청 사회통계 농어업동향과 (☎ 042-481-2484)
조사목적 및 활용
조사목적
농가가 생산하는 농산물의 농가수취가격과 농가의 영농 및 소비생활에 필요한 재화와 용역의 구입가격을 조사하여 지수를 편제하고, 농가경제를 가격측면에서 분석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통계(활용)분야 · 실태
물가/농림
작성유형
작성유형
조사통계
조사대상
조사대상 지역
전국
조사단위 및 조사대상 규모
개인
- 농가판매 : 전국
- 농가구입 : 전국
적용분류
(주) 기타
조사항목
조사항목
ㅇ농가판매가격지수 조사품목 75개
ㅇ농가구입가격지수 조사품목 407개(가계 364개 / 농업 43개)
조사표
2023 농가판매 및 구입가격조사 조사표.pdf
공표
공표주기
분기
공표시기
조사기준 분기 익월 말
공표범위
전국
공표방법 및 URL
전산망(인터넷), 간행물, 언론(보도자료)
농가판매 및 구입가격조사
http://kosis.kr
조사기간
조사대상기간 및 조사기준시점
농가판매 : 매월, 농가구입 : 매월 15일(기준년 2020년)
조사기간
농가판매 : 매월, 농가구입 : 매월 16일
조사주기
분기
계속여부
계속통계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ㅇ 농업노동임금(남,여)을 제외한 가격자료는 공표사항이 아님
ㅇ 지수 개편시, 기준 연도별로 시계열 비교를 위한 지수를 작성하여 제공(접속법 활용)
주요 용어해설
농가판매가격지수
농업경영활동으로 생산된 농산물 및 축산물 등 75개 품목의 2020년 기준(2020=100)의 가격지수
농가구입가격지수
농업경영체의 가계 및 경영활동에 투입된 407개 품목의 2020년 기준(2020=100)의 가격지수
농업구입가격지수
농업경영체의 경영활동에 투입된 43개 품목의 2020년 기준(2020=100)의 가격지수
농가교역조건지수
농가가 생산하여 판매하는 농산물과 농가가 구입하는 생활용품 또는 농기자재의 가격 상승폭을 비교하여 농가의 채산성을 파악
농업교역조건지수
농가가 생산하여 판매하는 농산물과 농가가 구입하는 농기자재의 가격 상승폭을 비교하여 농가의 채산성을 파악(가계용품 제외)
자료수집방법
자료수집방법
(주) 기타 / (부) 우편(팩스)조사, 인터넷조사, 면접조사, 전화조사
조사연혁
조사연혁
○ 1956년 6월 농업은행 ‘지방물가조사’ 시작
○ 1958년 8월 ‘농촌물가조사’로 개칭
○ 1959년 5월 ‘농촌물가 및 임료금조사’로 개칭
○ 1964년 4월 제1차 지수개편(1960=100)
○ 1965년 1월 정부지정통계(제12호)로 지정
○ 1967년 1월 제2차 지수개편(1965=100)
○ 1972년 1월 제3차 지수개편(1970=100)
○ 1977년 3월 제4차 지수개편(1975=100)
○ 1982년 9월 제5차 지수개편(1980=100)
○ 1987년 1월 제6차 지수개편(1985=100)
○ 1993년 4월 ‘농가판매 및 구입가격지수’로 개칭
○ 1993년 4월 제7차 지수개편(1990=100)
○ 1993년11월 통계작성 승인번호 변경 (제306001호)
○ 1997년12월 제8차 지수개편(1995=100)
○ 2003년 1월 제9차 지수개편(2000=100)
○ 2008년 1월 제10차 지수개편(2005=100), 4월 농협중앙회에서 통계청으로 이관
○ 2013년 4월 제11차 지수개편(2010=100)
○ 2018년 4월 제12차 지수개편(2015=100)
○ 2023년 4월 제13차 지수개편(2020=100)
조사체계
조사체계
ㅇ지역조사 : 조사담당자(사무소) → 조사대상처 방문 → 가격조사 → 조사결과 입력 → 결과 취합 및 지수작성(본청)
ㅇ중앙조사 : 조사담당자(본청) → 가격조사(전화, 인터넷, 행정자료 등) → 조사결과 입력 → 결과 취합 및 지수작성(본청)
승인내역
승인번호
306001
승인일자
1965-07-22
통계종류
지정통계
조사관리
전수/표본관리
전수/표본관리
ㅇ 조사대상처가 폐업, 업종변경 등의 사유로 조사가 어려워 대상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조사대상처 선정기준에 적합한 신규 조사대상처를 선정
조사업무흐름도
조사업무흐름도
ㅇ 업무흐름도 첨부파일 참조
업무흐름도.hwp
비표본오차관리
조사원교육훈련
ㅇ 매년 지침서 및 조사표 배부와 함께 교육(11월~12월)
ㅇ 2022년 교육훈련
- 일시: 2022년 12월
- 교육대상: 농가판매 및 구입가격조사 총괄자담당자
- 교육내용: 주요 입력 오류 및 변경된 지침사항에 대해 집중 교육
현장조사지도
ㅇ 현장조사를 소홀히 하여 발생할 수 있는 비표본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총괄담당자는 조사담당자를 대상으로 현장조사지도를 철저히 실시
표본설계
모집단
목표모집단 및 조사모집단
ㅇ 목표모집단: 전국의 농가, 조사모집단: 농림어업총조사에서 파악된 농가
ㅇ 가중치모집단: 농가경제조사 수입, 지출 총액
표본추출틀
ㅇ 농림어업총조사
표본설계방법
추출단위
ㅇ 가구
표본추출방법
조사대상처는 대상품목을 대표할 수 있고, 대상 품목이 출하되는 기간에 계속적으로 조사가 가능한 곳으로 조사담당자가 유의추출
표본규모 산출식
ㅇ 해당없음
표본배분방법
ㅇ 시군단위 배분
통계추정·추계 및 분석
추정산식
추정산식
ㅇ 해당없음
지수편제
지수분류체계
지수분류체계
ㅇ 분류체계 → COICOP 기준 농가경제조사의 분류체계를 따름
- 판매: 2015년 기준 유지(대분류 4, 중분류 11, 소분류 4)
- 구입: 2015년 기준 유지(대분류 5, 중분류 24, 소분류 70)
기준년도
기준년도
ㅇ 2020년
지수작성방법
지수산식
ㅇ 기준시 고정 가중산출평균 방식(라스파이레스 산식)
대표품목(업종)
ㅇ 농가판매가격지수 : 75개 품목
- 곡물: 일반미, 찹쌀 등
- 청과물: 배추, 마늘, 당근 등
- 축산물: 한우, 돼지. 닭, 계란, 우유 등
- 기타 농산물: 참깨, 표고버섯, 국화 등
ㅇ 농가구입가격지수: 407개 품목
- 가계용품: 소비자물가조사 품목
- 재료비: 비료, 수도용농약 등
- 노무비: 남자노무비, 여자노무비
- 경비: 트랙터, 이앙기, 등유 등
- 자산구입비: 콤바인, 건조기, 한우 등
가중치
ㅇ 농가판매가격지수
- 수입 총액에서 품목별 금액이 차지하는 비중 천분비로 환산
ㅇ 농가구입가격지수
- 수입 총액에서 품목별 금액이 차지하는 비중 천분비로 환산
기준물량(금액)
ㅇ 2020년 연평균 가격
디플레이터
ㅇ 디플레이터 사용하지 않음
기초자료
지수작성을 위한 기초자료
ㅇ 통계청에서 매월 실시하는 농가구입가격지수 결과자료
ㅇ 농협자료 등
지수작성계열
ㅇ 각 조사품목에 대한 가격 지수
지수형태 및 활용
원지수(경상/불변)
ㅇ 기준시 고정 가중평균 방식(라스파이레스 산식)
계절조정지수
ㅇ 계절조정하지 않음
지수개편
개편목적
ㅇ 5년 주기의 기준연도 변경(2015년 → 2020년)으로 2018년 이후 농가의 농·축산물 판매가격, 소비행태 및 경제구조 변화 반영
ㅇ 농가의 판매·구입 품목 변화와 소득·지출 구조의 변화를 반영하여 품목과 가중치 개편
개편주기
ㅇ 5년마다 기준년도 변경
- 2023년 4월 13차 지수개편 (2015년 ⇒ 2020년)
개편내용
ㅇ 기준년 변경에 따른 기준금액 재산정
ㅇ 가중치 개편
ㅇ 품목 변경
과거지수와의 접속방법
ㅇ 접속법
- 기준시점 변경에 따라 신규 기준년 이전의 기존지수들을 새로운 기준연도 시점에 맞게 조정함으로써 지수의 단층을 보정
- 신지수 = 2015년 기준지수 X 접속계수
- 접속계수 = 1 / 2020년 지수(2015년 기준)
참고자료
비밀보호
마이크로데이터(관리실태 포함)
ㅇ 마이크로데이터 제공하지 않음
집계표 데이터
ㅇ 수집된 원자료(가격자료)를 지수형태로 작성·공표하므로 공표자료에는 응답자의 개별 가격정보는 나타나지 않음
국제기구제출 여부 및 국제기구명
미제출
※ 통계자료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은 위 출처 정보에 안내된 전화번호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원하는 자료를 못찾으셨다면 통계청 민원실 및 통계자료문의코너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통계청 콜센터 02-2012-9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