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설명자료
전체조사보기
농가판매및구입가격조사
시점  english
조사목적 농가가 생산하는 농산물의 농가수취가격과 농가의 영농 및 소비생활에 필요한 재화와 용역의 구입가격을 조사하여 지수를 편제하고, 농가경제를 가격측면에서 분석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조사주기 분기
자료수집방법 (주) 기타
조사체계 ㅇ지역조사 : 조사담당자(사무소) → 조사대상처 방문 → 가격조사 → 조사결과 입력 → 결과 취합 및 지수작성(본청)
ㅇ중앙조사 : 조사담당자(본청) → 가격조사(전화, 인터넷, 행정자료 등) → 조사결과 입력 → 결과 취합 및 지수작성(본청)
통계종류 지정통계
통계개요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통계청 사회통계 농어업동향과 (☎ 042-481-2484)
조사목적 및 활용
조사목적 농가가 생산하는 농산물의 농가수취가격과 농가의 영농 및 소비생활에 필요한 재화와 용역의 구입가격을 조사하여 지수를 편제하고, 농가경제를 가격측면에서 분석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통계(활용)분야 · 실태 물가
작성유형
작성유형 조사통계
조사대상
조사대상 범위 전국
조사대상 지역 전국
조사단위 및 조사대상 규모 개인
- 농가판매 : 전국
- 농가구입 : 전국
적용분류 (주) 기타
조사항목
조사항목 ㅇ농가판매가격지수 조사품목 72개
ㅇ농가구입가격지수 조사품목 421개(가계 378개 / 농업 43개)
조사표 2020년 농가판매 및 구입가격조사 조사표.pdf
공표
공표주기 분기
공표시기 조사기준 분기 익월 말
공표범위 전국
공표방법 및 URL 전산망(인터넷), 간행물, 언론(보도자료)
농가판매 및 구입가격조사
http://kosis.kr
조사기간
조사대상기간 및 조사기준시점 농가판매 : 매월, 농가구입 : 매월 15일
조사기간 농가판매 : 매월, 농가구입 : 매월 16일
조사주기 분기
계속여부 계속통계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농업노동임금(남,여)을 제외한 일체의 가격자료는 공표사항이 아님
주요 용어해설
농가판매가격지수 농업경영활동으로 생산된 농산물 및 축산물 등 72개 품목의 2015년 기준(2015=100)의 가격지수
농가구입가격지수 농업경영체의 가계 및 경영활동에 투입된 421개 품목의 2015년 기준(2015=100)의 가격지수
농업구입가격지수 농업경영체의 경영활동에 투입된 43개 품목의 2015년 기준(2015=100)의 가격지수
농가교역조건지수 농가가 생산하여 판매하는 농산물과 농가가 구입하는 생활용품 또는 농기가재의 가격 상승폭을 비교하여 농가의 채산성을 파악
농업교역조건지수 농가가 생산하여 판매하는 농산물과 농가가 구입하는 농기가재의 가격 상승폭을 비교하여 농가의 채산성을  파악
정곡 조곡의 왕겨를 벗겨낸 백미의 상태(현미 제외)
조곡 수확한 그대로의 양곡
자료수집방법
자료수집방법 (주) 기타
조사연혁
조사연혁 ◦ 1956년 6월 농업은행 ‘지방물가조사’ 시작
◦ 1958년 8월 ‘농촌물가조사’로 개칭
◦ 1959년 5월 ‘농촌물가 및 임료금조사’로 개칭
◦ 1964년 4월 제1차 지수개편(1960=100)
◦ 1965년 1월 정부지정통계(제12호)로 지정
◦ 1967년 1월 제2차 지수개편(1965=100)
◦ 1972년 1월 제3차 지수개편(1970=100)
◦ 1977년 3월 제4차 지수개편(1975=100)
◦ 1982년 9월 제5차 지수개편(1980=100)
◦ 1987년 1월 제6차 지수개편(1985=100)
◦ 1993년 4월 ‘농가판매 및 구입가격지수’로 개칭
◦ 1993년 4월 제7차 지수개편(1990=100)
◦ 1993년11월 통계작성 승인번호 변경(제30601)
◦ 1997년12월 제8차 지수개편(1995=100)
◦ 2003년 1월 제9차 지수개편(2000=100)
◦ 2008년 1월 제10차 지수개편(2005=100)
◦ 2008년 4월 농협중앙회에서 통계청으로 이관
◦ 2013년 4월 제11차 지수개편(2010=100)
◦ 2018년 4월 제12차 지수개편(2015=100)


조사체계
조사체계 ㅇ지역조사 : 조사담당자(사무소) → 조사대상처 방문 → 가격조사 → 조사결과 입력 → 결과 취합 및 지수작성(본청)
ㅇ중앙조사 : 조사담당자(본청) → 가격조사(전화, 인터넷, 행정자료 등) → 조사결과 입력 → 결과 취합 및 지수작성(본청)
승인내역
승인번호 306001
승인일자 1965-07-22
통계종류 지정통계
표본설계
모집단
목표모집단 및 조사모집단 전국 농촌지역
표본추출틀 농림어업총조사
표본설계방법
추출단위 가구
표본추출방법 조사대상처는 대상품목을 대표할 수 있고, 대상 품목이 출하되는 기간에 계속적으로 조사가 가능한 곳으로 조사담당자가 유의추출
표본규모 산출식 해당없음
표본배분방법 시군단위 배분
지수편제
지수분류체계
지수분류체계 ◦ 농가판매가격지수 : 농업경영활동으로 생산된 농산물 및 축산물 등 72개 품목의 가격지수
◦ 농가구입가격지수 : 농업경영체의 가계 및 경영활동에 투입된 421개 구입품의 가격지수
◦ 농업구입가격지수 : 농업경영체의 경영활동에 투입된 43개 품목의 가격지수
◦ 농가교역조건지수 : 농가판매품과 구입품(생활용품, 농기가재)의 가격수준의 비(比)를 통해 농업경영활동의 여건을 평가
◦ 농업교역조건지수 : 농가판매품과 구입품(농기가재)의 가격수준의 비(比)를 통해 농업경영활동의 여건을 평가
기준년도
기준년도 2015년
* 2018년 4월 제12차 지수개편(2015년=100)
지수작성방법
지수산식 기준시 고정 가중산술평균 방식(라스파이레스 산식)
가중치 ◦ 농가의 연도별 판매/구입 총량의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농가경제조사 최근 3개년(2013~2015년) 집계결과(연간 평균금액)를 기초로 함

◦ 농가판매 및 구입 가중치는 농가의 판매/수입 총액 각 부문에서 해당 품목이 차지하는 금액 비중을 천분비(1/1000)로 계산
2015년기준 농가판매 및 구입가격조사 품목별 가중치.xlsx
기초자료
지수작성을 위한 기초자료 ◦농가의 수입․지출 구조변화를 반영할 수 있도록 품목 추가 및 탈락 (2013~2015년 농가경제자료 활용)
◦농가의 수입, 지출* 총액 중 5천분의 1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동종 상품군의 가격변동을 대표하고 가격조사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품목을 선정  
     * 통계청 농가경제조사 기준
지수작성계열 ◦ 농가판매가격지수
◦ 농가구입가격지수
◦ 농업구입가격지수
◦ 농가교역조건지수
◦ 농업교역조건지수
지수형태 및 활용
원지수(경상/불변) 지수계산 산식 : 기준 시 고정 가중산술평균 방식(라스파이레스 산식)
참고자료
작성지침서
작성지침서(기획서) 2020년 농가판매 및 구입가격조사 조사지침서.pdf
국제기구제출 여부 및 국제기구명 미제출
※ 통계자료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은 위 출처 정보에 안내된 전화번호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원하는 자료를 못찾으셨다면 통계청 민원실 및 통계자료문의코너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통계청 콜센터 02-2012-9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