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설명자료
전체조사보기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시점  english
조사목적 국민구강건강지표와 구강보건의식 및 구강보건행태 등을 파악하여 중장기 구강보건목표 설정과 구강건강 증진사업 개발 및 구강보건사업 우선순위 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조사주기 3년
자료수집방법 (주) 면접조사
조사체계 조사원(대한치과의사협회)→질병관리청
통계종류 일반통계
통계개요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관리 건강영양조사분석과 (☎ 043-719-7472)
조사목적 및 활용
조사목적 국민구강건강지표와 구강보건의식 및 구강보건행태 등을 파악하여 중장기 구강보건목표 설정과 구강건강 증진사업 개발 및 구강보건사업 우선순위 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통계(활용)분야 · 실태 보건
작성유형
작성유형 조사통계
조사대상
조사대상 범위 ㅇ2018년 4월 기준 현재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전국 만 5세 (461,601명) 및 만12세 대상 (430,618명)

ㅇ전국 252개 시군구의 총 696개소기관 ( 유치원 어린이집 327개소, 중학교324개소)에서 유치원 학급당 평균 25명, 중학교 학급당 평균24명 조사진행
- 총 조사대상 41,670명 ( 만 5세 14,150명, 만 12세 27,520명)
조사대상 지역 전국
조사단위 및 조사대상 규모 개인
ㅇ총 41,670명
-만5세 14,150명( 17개 특광역시 ,도 : 특광역시 4,250명, 도지역9,900명)
-만12세 27,520명(9개도 9,900명, 8개 특광역시 및특별자치시 75개 시군구 17,620명)
* 변경 전 조사대상규모
-1차 단위 : 17개 특광역시,도 (만 5세, 만 12세)
-2차단위 : 9개도 및 특별자치도의 154개 시군구 (만 12세)
*변경 후 조사대상 규모
-1차 단위 : 17개 특광역시, 도 (만 5세, 만 12세)
-2차 단위 : 8개 특광역시 및 특별자치시의 75개 시군구 (만 12세)
적용분류 (주) 기타/대분류
조사항목
조사항목 ○ 조사표 변경전
- 구강건강상태조사 검진기록지 14개
- 구강건강의식조사 설문지 11개
○ 조사표 변경후
- 구강건강상태조사 검진기록지 21개
- 구강건강의식조사 설문지 20개
조사표 [첨부6] (조사표 비교) 2018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hwp
공표
공표주기 3년
공표시기 조사기준 년도 익년 6월
공표범위 시군구
공표방법 및 URL 전산망(인터넷), 간행물, 언론(보도자료)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http://www.mohw.go.kr/
조사기간
조사대상기간 및 조사기준시점 조사대상년도 5월
조사기간 2018.6.~2018.12.
조사주기 3년
계속여부 계속통계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ㅇ표본추출 대상  중학교의 자발적인 협조에 의해 서만 조사가 가능했기 때문에 대상지역 중학교의 협조도의 차이로 시군구단위의 결과를 해석할 때 대표성의 한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주요 용어해설
영구치우식경험율 o 영구치에 발생되는 우식증을 경험한 사람의 백분율
o 피검자 중 한 개 이상의 우식경험영구치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백분율
영구치우식유병율 o 한 개 이상의 영구치우식병소를 가지고 있는 아동의 백분율
o 1개 이상의 영구치 우식병소를 가지고 있는 아동의 수를 피검아동의 수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산출
우식경험영구치지수 o 한 사람이 보유하고 있는 평균우식경험영구치아의 수
o 한 사람이 평균 몇 개의 우식경험영구치를 가지고 있는가를 표시하는 구강보건지표
o 치아검사를 받은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는 모든 우식경험영구치아를 합한 후, 치아검사를 받은 사람의 수로 나누어 산출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 o 한 사람이 보유하고 있는 평균우식경험영구치면수
o 피검자가 가지고 있는 모든 우식경험영구치면의 수를 합한 후, 피검자의 수로 나누어 산출
우식경험영구치율 o 인간집단의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영구치아 가운데에서 우식증을 경험한 영구치아의 백분율
o 피검영구치아 중 우식경험영구치아의 백분율
우식영구치율 o 우식경험영구치 중 우식영구치의 백분율
o 피검자가 가지고 있는 모든 우식영구치아의 수를 합하여, 피검자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우식경험영구치아의 수로 나눈 다음에, 100을 곱하여 산출
o 우식경험영구치아 가운데에서 방치되어 있는 우식영구치의 백분율을 표시하는 구강보건지표
유치우식경험율 o 유치에 발생되는 우식증을 경험한 아동의 백분율
o 피검아동 가운데에서 한 개 이상의 우식경험유치를 가지고 있는 아동의 백분율
o 치아검사를 받은 전체 아동의 수로 유치우식증을 경험한 아동의 수를 나눈 후, 100을 곱하여 산출
우식경험유치지수 o 한 아동이 보유하고 있는 평균우식경험유치의 수
o 한 아동이 평균 몇 개의 우식경험유치를 가지고 있는가를 표시하는 구강보건지표
o 치아검사를 받은 모든 아동이 가지고 있는 모든 우식경험유치를 합한 후, 치아검사를 받은 아동의 수로 나누어 산출
자료수집방법
자료수집방법 (주) 면접조사
법적근거
법적근거 구강보건법 제9조
조사연혁
조사연혁 ㅇ최초작성년도 : 2000년
주요연혁 : ㅇ2000년도 구강보건법 제정(2000.1.12.)
ㅇ2000년: 제1차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최초 실시
ㅇ2003년 : 제2차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 국가승인통계 지정 2003.9.3.
ㅇ2006년 : 제 3차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ㅇ2010년 : 제4차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ㅇ2012년 : 제5차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ㅇ2015년 : 제6차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ㅇ2018년 : 제7차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조사체계
조사체계 조사원(대한치과의사협회)→질병관리청
승인내역
승인번호 117051
승인일자 2003-09-03
통계종류 일반통계
조사관리
전수/표본관리
전수/표본관리 ○ 2018년 아동구강실태조사의 경우 표본으로 선정된 중학교 및 유치원, 어린이집에서 조사 거부가 발생한 경우 동일 지역의 학교 또는 유치원으로 대체하여 조사관리가 이루어짐
- 폐교 및 개교 기관 관리 : 조사구역 내 새로운 기관이 개교한 경우 개교이후부터 표본추출틀에 포함하여 추출하고, 폐교한 경우 조사추출틀에서 제외하여 조정함.

  ○ 사전에 표본으로 선정된 기관에 대해 보건복지부 장관의 조사협조 공문을 발송하고, 이 과정에서 조사 거부가 발생하거나, 차후 별도로 조사거부가 발생한 경우 동일 지역의 학교 또는 유치원으로 대체하여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함
조사업무흐름도
조사업무흐름도 조사를 위한 세부 연구팀 구성→ 표본추출 → 표본설계 → 조사원 채용과 교육훈련 → 표본조사구 선정기관 동의 → 조사 동의서 및 조사 안내서 선정기관에 발송 → 방문 조사→ 입력  →자료 오류유무 확인 및 보완 → 자료편집 및 결과 분석, 공표
조사원규모
조사원규모 ㅇ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조사원6명 (치과의사 및 보조원)
비표본오차관리
조사원교육훈련 ㅇ 교육훈련 목적

1) 2018년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의 검진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
2) 우리나라 구강건강실태조사 현황과 의의에 대한 전반적 이해
3) 우리나라 구강건강실태조사 치아 및 치주상태 검진기준 교육
4) 기준 조사자와 실태조사 검진조사원 간의 구강검사결과 일치도 확보
5)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현장 실무 교육

ㅇ 교육훈련 과정
- 일시 : 2018. 5. 16 ~ 2018. 5. 19 (3박4일)
- 장소 :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 대상자 : 조사팀장(치과의사) 3명, 조사보조원(치과위생사) 3명
- 방법:
* 강의를 통한 이론 교육 후, 기준조사자(질관리팀장)와 조사팀장 3인이 각각 조사 대상(사진, 발거치아모형, 사람)의 치아 및 치주 상태를 평가한 뒤, 결과를 비교하고 토의를 통해, 최종적으로 기준 조사자와 조사팀 간의 일치도를 향상 시켰다.
* 교육훈련 참가 대상자 모집을 위해, 기준 조사자가 유치원과 중학교를 미리 방문하여 스크리닝 검사 후 치아우식, 치석 등이 존재하는 적절한 대상자를 선정한 후, 교육 훈련 참여에 동의(보호자 및 본인)한 아동을 최종 대상자(만 5세: 16명, 만 12세 10명)로 선정하였다.
현장조사지도 ㅇ   현장지도 목적

- 조사자의 검진 과정 평가
- 대상자 중복 검사를 통한 조사자의 검진 오류 확인 및 수정
- 조사자 현장 의견 수렴

ㅇ 진행방법

1) 현장 방문
2) 검진 과정 관찰
3) 중복 검사
4) 검진 기록 오류 확인 및 환류
무응답률 및 무응답 대처 ㅇ조사대상기관의 응답거절  : 조사대상기관의 무응답으로 인해 해당지역의 최소 통계산출 필요 인원수를 넘기지 못한경우 표본기관 재산출을 하였음.
ㅇ조사대상자의 응답거절 : 사전 부모동의가 필요한 조사로 별도의 표본대체를 할 수 없음 .
표본설계
모집단
목표모집단 및 조사모집단 목표모집단 만 5세, 만 12세 아동
조사모집단: 만5세 유치원, 유아원생, 만12세 중학생
표본추출틀 ㅇ만 5세 유치원(교육부), 어린이집(보건복지부) 기관리스트, 만 12세는 중학교  기관리스트를 추츨틀로 함
표본설계방법
추출단위 ◯ 각 시군구별로 먼저 중학교를 선정하고, 표본으로 선정된 중학교의 인근 지역의 유치원을 추출하도록 함

◯ 중학교와 유치원으로 252개 시군구에서 학교를 1단계 추출단위, 학교내 학급을 2단계 추출단위로 고려하여 지역별로 할당된 표본 배분 표를 기준으로 조사모집단에 표본학교를 추출하기 위해서 각 층내의 중학교와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학생 규모에 따라 확률비례계통추출(pps systematic sampling)을 적용하여 추출함

◯ 이와 더불어 각 시군구별로 유치원의 만 5세 반 표본학급수가 부족한 경우에는 인근 어린이집의 만 5세 반을 표본에 추가하여 지역별로 할당된 학급과 학생 수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 중학교 표본의 경우 만 12세에 해당되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지만, 조사과정에서 연령이 만 12세가 아닌 경우 조사대상에 제외하며, 이는 만 5세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 이와 더불어 각 시군구별로 유치원의 만 5세 반 표본학급수가 부족한 경우에는 인근 어린이집의 만 5세 반을 표본에 추가하여 지역별로 할당된 학급과 학생 수를 유지하도록 함

◯ 중학교 표본의 경우 만 12세에 해당되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지만, 조사과정에서 연령이 만 12세가 아닌 경우 조사대상에 제외하며, 이는 만 5세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함.
표본추출방법 ㅇ 234개의 시/군/구 행정구역 기준으로 층을 나누기 보다는 유사한 성질의 시/군/구를 집락화(clustering or grouping)하여 해당 집락내에서 표본을 추출
ㅇ 집락화의 변수로는  ①지리적 접근성, ②학교 수 및 인구수 유사성, ③경제활동 참가율, ④농업/광업/서비스업 종사율 등 4 가지 변수값을 기준으로 적용. 다만 7개 특별시와 광역시는 지역규모의 층에서 단일층으로 간주.
ㅇ 위의 기준은 16개시도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나 경기도와 충청남도의 경우에 시와 군지역이 집락내에 혼재되어 있어서 시와 군지역을 혼합하여 집락을 구성
ㅇ 제주도의 집락화는 군지역과 시지역을 혼합하여 2개의 집락으로 구분하여 표본할당과 추출에서 편이성을 높임
(층화 비례배분)
표본규모 산출식 * 첨부파일 확인

◯ 표본오차 특.광역시 단위 기준  6.1% 이하, 도단위 기준 6.5% 이하를
     충족시키는 조건으로 표본 규모를 정함

통계설명자료 _가중치조정.hwp
통계추정·추계 및 분석
추정산식
추정산식 추정기법 : 붙임 : 연령층별 모수측정기법
연령층별 모수추정.hwp
가중치조정 첨부파일 있음
통계설명자료 _가중치조정.hwp
이상치 식별 및 처리 이상치 검토는 실시하지 않음
지수편제
지수분류체계
지수분류체계 해당사항 없음
기준년도
기준년도 해당사항 없음
지수작성방법
대표품목(업종) 해당사항 없음
가중치 해당사항 없음
기준물량(금액) 해당사항 없음
디플레이터 해당사항 없음
지수형태 및 활용
계절조정지수 해당사항 없음
지수개편
개편목적 해당사항 없음
개편주기 해당사항 없음
개편내용 해당사항 없음
과거지수와의 접속방법 해당사항 없음
참고자료
작성지침서
작성지침서(기획서) [첨부2] (지침서) 2018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hwp
비밀보호
마이크로데이터(관리실태 포함) ㅇ마이크로데이터의 개인정보관련자료는 모두 코드화하여 개인식별 불가능
집계표 데이터 공표되는 집계표 데이터는 집단별로 제시하므로 개인 식별가능한
                        정보는 제공 되지 않음
국제기구제출 여부 및 국제기구명
국제기구제출 여부 및 국제기구명 제출
WHO,OECD
기타 참고자료
기타 참고자료 1. 국제기준 또는 권고안
  ○ Bratthall D. Estimation of global DMFT for 12-year-olds in 2004. Int Dent J. 2005 Dec;55(6):370-2.
  ○ Barmes DE. Indicators for oral health and their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ountries. Int Dent J. 1983 Mar;33(1):60-6.
  ○ 재단법인 구강보건협회. 해설 平成 17년 치과질환실태조사. 1판. Tokyo;2007:3-15. [Japanese]
  ○ 보건복지부. 2000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보건복지부. 2000.
  ○ 보건복지부. 2003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보건복지부. 2003.
  ○ 보건복지부. 2006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보건복지부. 2006.
  ○ 보건복지부. 2010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보건복지부. 2010.
  ○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보고서. 2007.
  ○ World Health Organization . The world oral health report. 2003.
  ○ 정세환, 고대호, 김영남, 김용진, 박덕영, 배광학, 신호성, 이상구, 전민용. 미래사회 대비 평생건강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구강보건사업강화방안. 대통력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06.
  ○ 정세환, 김영남, 류재인, 박웅섭, 배광학, 배수명. 생애주기별 구강보건사업 발전방안 연구. 강릉대학교 산학협력단․건강증진기금사업지원단 2007.
  ○ Drury T, Winn D, Snowden C, Kingman A, Kleinman D, Lewis B. An overview of the oral health component of the 1988-9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Dent Res 75(Spec Issue): 620-30, 1996.
  ○ Dye BA, Barker LK, Selwitz RH, Lewis BG, Wu T, Frayer CD, et al. Overview and quality assurance for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NHANES) oral health component, 1992-2002.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5:140-51, 2007.
  ○ Kingman A, Albandar JM. Methodological aspects of epidemiological studies of periodontal diseases. Periodontol 2000 29:11-30, 2002.
  ○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Trends in oral health status: United States, 1998-1994 and 1999-2004. Vital and Health Statistics series 11, number 248, 2007.
2. 동일통계 외국자료
□ WHO Health Organization
  ○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oral-health

□ OECE Statistics
  ○ http://www.oecd.org/els/health-systems/health-data.htm

3. 기타 문헌
□ 국민구강건강 관련 실태조사 자료 심층분석(2011)

※ 통계자료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은 위 출처 정보에 안내된 전화번호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원하는 자료를 못찾으셨다면 통계청 민원실 및 통계자료문의코너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통계청 콜센터 02-2012-9114